반응형

 

안녕하세요.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인해 전세계 증시가 폭락을 하고 있어요.

특히 미국은 그 어느 나라보다 큰 폭으로 하락을 하고 있는데요,

미국3대 지수인 다우산업, 나스닥, S&P500 지수가 이틀 연속 5%가 넘는 하락을 했을 정도에요.

 

그래서 오늘은 기술주 비중이 큰 나스닥 지수와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된 커버드콜 3 종목의 성과를 비교해봤어요.

 

과연, 흔히들 얘기하듯 커버드콜은 상방은 막혀있고, 하방은 열려 있는지,

또는, 오를 땐 덜 오르고, 떨어질 때도 덜 떨어지는게 맞는지,

 

확인을 해볼게요.

 

■ 비교 대상 및 기간

  • 나스닥 종합지수 - "나스닥" 으로 표기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 "TIGER"로 표기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 "TIGER 타겟"으로 표기
  •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 "KODEX"로 표기
  • 위 네 가지에 대해서 가장 늦게 상장한 KODEX의 상장일인 24년 10월 23일 이후의 성과를 비교

 

■ 주가 비교

  • 24년 10월 23일부터 현재까지 나스닥종합지수와 커버드콜 3종목의 주가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에요.
  • 0%에서 시작하여 25년 4월 2일 기준으로 나스닥 14.7% 하락, KODEX 11.94% 하락, TIGER 7.07% 하락, TIGER 타겟 12.58% 하락
  • 나스닥지수가 가장 많이 하락했고, 그 다음으로 TIGER 타겟, KODEX, TIGER 순인 것을 알 수 있어요.
  • 확실히 커버드콜이 떨어진게 확인이 되네요.
  • 그러면 오를 때도 올랐는지 확인을 해볼게요.

  • 24년 11월~12월의 모습을 보면, 올랄 갈 때 기울기의 차이는 있지만, 오측으로 갈수록 결국 한 지점에서 다 만나는 것이 보이는데요, 이런 모습을 보면 딱히 오를 때 덜 오른거 같진 않은 모습이에요.
  • 나스닥이 가장 먼저 오르고, KODEX와 TIGER 타겟은 비슷하게 따라오르는데, TIGER만 가장 뒤늦게 따라올라가다보니 일시적으로 간격이 벌어진 지점도 있었어요.

  • 그런데요, 나스닥 지수가 횡보하는 구간에서 오히려 KODEX와 TIGER타겟이 지수 대비 하락률이 큰게 확인이 되네요.
  • 반면 TIGER는 지수를 잘 따라가고 있는 모습이에요.
  •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어느 시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나올 수도 있지만, 제가 정리한 기간의 그래프만 보자면, 지수가 오를 땐 커버드콜 종목들도 잘 따라 올라감, 지수가 횡보할 땐 종목별로 수익률이 더 나빠지는 종목이 있음, 지수가 떨어질 땐 커버드콜이 덜 떨어짐.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겠네요.

 

그런데 커버드콜이 하락장에서 덜 떨어진다고 하는건, 배당 때문이잖아요. 그래서 배당수익률도 비교해볼게요.

 

 

■ 배당수익률 비교

  • 위의 표는 종목별 매월 1주당 배당금 발생 현황이에요.
  • 만약 24년 10월 24일에 각 종목을 1주씩만 매수를 했다면, KODEX는 총 861원, TIGER는 568원, TIGER타겟은 638원을 받을 수 있었어요.

  • 시작할 때 주가가 달랐기 때문에 이를 수익률로 표시를 해보면, KODEX 8.4%, TIGER 6.25%, TIGER타겟 7.73%의 배당수익률을 올릴 수 있었어요. 
  • KODEX는 월별로 주가 대비 1.5%가 넘는 배당수익률이고, TIGER는 1%, TIGER타겟은 1.3% 정도 되네요.

 

■ 종합수익률 비교

  • 위의 표는 24년 10월 23일에 매수했다고 했을 때 매월 주가수익률에 누적배당수익률을 더한 종합수익률을 비교한 표에요.
  • 24년 10월 23일에 각 종목을 매수했다고 하면,
  • 나스닥종합지수는 총 14.71%의 손실 중이고,
  •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은 11.94%의 주가 손실을 기록했지만, 그 동안 누적 배당금으로 8.42%를 받았기 때문에 총손익은 3.51% 손실
  •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은 7.07%의 주가 손실을 기록했지만, 누적배당금이 6.25%이기 때문에 총손익은 1.82% 손실
  •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은 12.58%의 주가 손실을 기록했지만, 누적배당금이 7.73%이기 때문에 총손익은 6.11% 손실

 

※ 결론

  •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방식과 일정비율을 지급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는 일정금액을 지급하기 때문에 배당금은 그대로인데 주가가 오르면 배당수익률은 떨어지고, 주가가 떨어지면 배당수익률이 오르는 반비례의 관계에 있어요. 
  • 반면, 일정비율을 지급하는 방식은 커버드콜의 방식이에요. 주가가 오르면 배당금도 오르고 주가가 떨어지면 배당금도 떨어지는 비례 관계에 있어요. 오늘 소개한 3종목이 모두 여기에 해당돼요.
  • 이번 하락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알 순 없지만, 지급 커버드콜을 적립해나간다면, 어느날 "그래도 미국이니깐!" 하면서 다시 상승을 하게 된다면, 주식 평가금액도 오르고, 매달 받는 배당금도 늘어날 수 있어요.
  • 물론, 그 반대의 상황인, 주가도 떨어지고 배당금도 떨어질 수도 있지만요.

 

투자 권유와는 무관하며, 판단은 개인의 몫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내에 상장된 국내 월배당 ETF 리스트와 종목별 월 분배금, 월평균 수익률, 연평균 수익률, 그리고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업데이트 하고 있어요.

 

25년 3월 분배금이 모두 확정되었어요.

3월 27일까지 주식을 매수하였을 경우, 4월 둘째 영업일인 4월 2일에 분배금이 입금 예정이에요.

 

그럼 아래에서 2025년 3월 분배수익률 순위와 유형별, 종목별 분배금 확정 내역을 공유할게요.

 

개요

■ 표 설명

■ 분배금 수익률 순위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채권형
   . 커버드콜
   . 리츠 & 혼합

※ 결론

 

 


■ 표 설명 

 

  • 분배금 : 1주당 분배금
  • 가격 : 분배락이 발생하기 전날 가격
  • 수익률 : 매월 분배금을 가격으로 나눈 값
  • 비용 : 연환산 시 값. 위의 값을 예로 들면 24년 6월 비용인 0.155%는 6월엔 연 0.155%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용이 발생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0.155%의 1/12 정도의 비용 발생. 매월 10일 경 지난 달의 비용이 발표됨
  • 월평균수익률 : 3번 월단위 수익률의 평균값
  • 연수익률 : (월평균수익률 x 12) - (비용 ÷ 12)

 

■ 분배금 수익률 순위 

 

전체 종목에 대해서 연환산 수익률이 높은 종목부터 낮은순으로 정렬한 결과에요.

  •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도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 1위부터 31위까지는 모두 커버드콜 종목이 차지를 했어요.
  • 1~3위를 차지한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 RISE 미국테크100데일리고정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은 연속해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어요.

  • 해외 상품에 투자하는 커버드콜 종목 다음 순위로는 리츠 ETF인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와 국내 지수 추종하는 커버드콜 종목인 RISE 200고배당커버드콜ATM, TIGER 200커버드콜이 있어요.

 

  • KIWOOM 팔란티어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 KIWOOM 엔비디아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 RISE 테슬라미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은 이제 한 번 배당을 실시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어요.

 

■ 유형별 분배 수익률, 주가, 비용 정리 

 

▶ 주식형

  • ACE,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처럼 파란색으로 색칠되어 있는 종목들은 월말이 아닌 15일을 지급기준일로 하는 종목으로 주가 또한 3월 27일 가격이 아니라 3월 배당락이 발생하기 전 가격인 3월 12일 주가에요.
  • 최근 미국 기술주는 많은 하락을 했는데요, 반면 가치주로 평가받는 종목들과 SCHD 같은 종목은 잘 버티고 있는 중인데요, ACE / SOL / TIGER /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또한 주가가 잘 받쳐주고 있는 모습이에요.

  • KODEX 고배당, PLUS 고배당주,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 모두 4.7~5.2%의 배당수익률을 보이며, 주가 또한 3개월째 보합에 머물고 있어요.

 

  • 코리아밸류업 종목들은 성과가 좀 나뉘는데요, PLUS 코리아밸류업은 배당수익률은 4.1%로 가장 높아요.
  • 반면 ACE 코리아밸류업은 아직까지 배당금을 한 번도 지급하지 않았어요.

 

 

 

▶ 채권형

  • 위에 있는 채권 ETF는 배당수익률이 3~4%대에요.

 

 

 

▶ 커버드콜

  • 대체적으로 미국 지수를 담은 커버드콜 종목들은 높은 배당수익률은 보이지만, 주가는 매월 하락을 하고 있는데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1호, 2호는 주가가 떨어지지 않았네요.

 

  • 커버드콜 종목 중 "배당"이 들어간 종목들은 주가 방어가 되면서 높은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빅테크"가 들어간 종목들은 배당수익률은 높지만 주가가 크게 하락을 하면서 배당금도 같이 하락을 한 상태에요.

 

  • 채권 커버드콜 종목들은 11%대의 배당수익률과 주가 또한 떨어지지 않았어요.

 

  • 위에 있는 종목들은 국내 지수 또는 종목을 담은 커버드콜 종목들이에요.
  • 눈에 띄는건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이 연환산 16%의 높은 배당수익률이 나오고 있지만, 주가 측면에선 1월은 9535원, 2월 9370원, 3월 9145원으로 주가가 크게 하락을 하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 RISE 테슬라미국채타겟커버드콜혼합은 2월 18일날 상장을 해서 약 40일간의 배당수익률이 1.78%인걸로 추정돼요. 정확한 월별 배당수익률은 다음달이 되어봐야 알 수 있을거 같아요.

 

▶ 리츠 & 혼합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가 얼마전 공지를 했어요. 앞으론 들쭉날쭉한 배당금을 개선해서 매월 33원 수준의 꾸준한 배당금을 지급하겠다고요. 

 

  • 채권이 혼합되어 있는 종목들은 안전자산을 30%는 의무적으로 담아야 하는 IRP 계좌에서도 100% 매수할 수 있는 종목들이에요.
  • KIWOOM 에서 엔비디아+미국채30년, 팔란티어+미국채30년 이렇게 묶어서 종목을 출시했는데요, 연금계좌를 통해서 팔란티어나 엔비디아에 투자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고려해볼만한 종목인거 같아요.

 

※ 결론

  • 미국 증시가 기술주 위주로 큰 폭으로 하락을 했어요. 그래서 나스닥이나 미국 빅테크 종목을 담고 있는 월배당ETF들의 주가도 크게 떨어진 상태에요.
  • 반면 배당수익률은 15%가 넘기 때문에 현혹될 수도 있는데요, 배당수익률은 그대로일지라도 주가가 떨어지면 배당금도 같이 떨어지는게 커버드콜 특성이기 때문에, 배당수익률과 함께 배당금도 꼭 같이 확인해서 좋은 선택하길 바래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대표 리츠 ETF 중 하나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가 분배금 지급 방식을 변경한다는 공지를 띄웠어요.
사실 그 동안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들쭉날쭉한 분배금 때문에 리츠 ETF를 통해서 월세 받는 기분을 누리기가 좀 애매했는데요, 이번에 그 부분을 개선해서 매월 고른 분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그동안 분배금 지급 이력을 살펴보고, 또 다른 리츠 ETF인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와 성과를 비교해보고자 해요.

 

개요

 분배금 지급방식 변경 공지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분배금 지급이력

■ 리츠ETF 3종 2024년도 분배금 지급이력 비교

■ 주가 수익률 비교

■ 배당수익률 비교

■ 주가수익률 + 배당수익률

※ 마무리 의견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분배금 지급방식 변경 공지 (출처 : TIGER ETF 홈페이지)

https://www.tigeretf.com/ko/customer/notice/view.do?listCnt=10&pageIndex=1&detailsKey=600&q=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역대 분배금 지급 이력

  • 과거 분배금 지급 이력을 보면, 이번달은 48원, 다음달은 40~45원의 분배금을 지급할 확률이 높았는데요, 갑자기 매달 33원씩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번달과 다음달은 왠지 손해 보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어요.

 

  • 그런데 앞으로 계속 33원을 지급한다고 가정하면 올해 총 379원의 분배금을 지급하는게 되고, 이는 작년에 총 지급한 분배금 335원 대비 13%가 증가한 금액이 돼요. 이대로만 지급이 된다면 좋을거 같아요.

 

■ 리츠ETF 2024년도 분배금 지급이력 비교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PLUS K리츠 3 종목의 2024년 월별 분배금을 비교해봤어요. 
  • TIGER는 8원~45원까지 제일 적은 달과 많은 달이 5배 넘게 차이가 나요.
  • 반면 KODEX는 30~39원, PLUS는 40~50원으로 꽤 균등하게 지급이 된 걸 알 수 있어요.
  • TIGER 또한 KODEX나 PLUS처럼 매월 고른, 그래서 예측 가능한 분배금을 지급하겠다는 결정을 한거에요.

 

■ 리츠ETF 주가 수익률 비교

 

  • 3 종목의 최근 1년 주가 수익률을 비교를 해보면, TIGER는 6.1% 하락 > PLUS는 6.6% 하락 > KODEX는 10.2% 하락을 했어요. 주가 수익률에선 TIGER가 가장 우수했네요. 

 

■ 리츠ETF 배당 수익률 비교

  • 3 종목의 배당수익률을 비교를 해봤어요.
  • 1년 배당수익률 비교 시 TIGER는 7.23% < PLUS는 7.89% < KODEX는 8.51% 순으로 주가수익률과는 정반대 순으로 높아요. 

 

■ 주가수익률 + 배당수익률

  • 단순히 1년 동안의 주가수익률에 배당수익률을 더한 합산 수익률은 TIGER 1.13%, KODEX -1.68%, PLUS 1.29%로 PLUS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KODEX는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어요.

 

※ 마무리 의견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의 3월 28일 종가는 4230원으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올해 총 379원의 분배금을 지급받게 된다면 분배금 수익률 약 8.95%로 꽤 높은데다가, 
  • 지금까지 들쭉날쭉했던 분배금을 개선해서 매월 꾸준하게 지급을 한다면, 부동산 월세 받는 효과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 반면, 작년 연말에 리츠주들이 대거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개별 리츠주는 물론 리츠 ETF까지 가격이 크게 하락을 했다는 단점도 있으니 주의할 필요는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배대마진, 즉 배당과 대출이자의 차이를 이용한 돈 놓고 돈 먹기 투자를 실제로 해보고 있는데요,

네 번째 배당금을 받았고, 네 번째 대출이자를 납입했어요.

 

오늘 그 내역을 정리해서 공유해볼게요.

 

※ 참고로 아래 글은 투자 권유나 홍보가 아닌 제가 실제로 진행하는 투자 내용을 공유하는 정도입니다.

 


■ 지난 스토리

  • 24년 11월 - 주택청약예금 납부금 580만원으로 예금담보대출 530만원을 금리 4.12%로 받음. 그리고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608주를 매수함
  • 24년 12월 - 608주에 대해서 81,742원(주당 134원)을 받아서 17,898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7주를 추가 매수함
  • 25년 1월 - 615주에 대해서 77,490원 (주당 126원)을 받아서 18,516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7주를 추가 매수함
  • 25년 2월 - 622주에 대해서 76,224원 (주당 127원)을 받아서 18,545원의 대출이자를 납부하고 남은 금액은 주식 8주를 추가 매수함

 

■ 배당금 입금

 

  • 1주당 128원씩해서 629주에 대한 배당금 80,512원을 받았어요.
  • 절세 계좌가 아닌 일반 계좌로 투자를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번달엔 세금을 하나도 안 떼였어요.

 

■ 대출이자 납부

  • 530만원에 대한 대출이자 16,750원을 납부했어요.
  • 아직 대출원금은 1원도 갚지 않은 상태에요.
  • 따라서 이번달 배대마진은 배당금 80,512원에서 대출이자 16,750원을 뺀 63,762원이에요.

 

■ 배대마진 투자결정

① 매월 주식 잔고가 마이너스면 배대마진은 주식에 재투자 → 저가매수로 배당금 늘리기
② 매월 주식 잔고가 플러스면 배대마진은 대출 원금 상환  → 대출 원금 줄여서 대출이자 낮추기

 

  • 대출 이자를 상환하고 남은 배당 잔액에 대해선 위와 같은 기준을 설정해놨어요.
  • 배당을 받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면 주식에 재투자를 해서 평단가를 낮춤과 동시에 배당금을 늘리고,
  • 주식 평가금액이 플러스면 대출 원금을 일부라도 상환해서 다음달엔 대출 이자를 줄이는 쪽으로 투자하기로요.
  • 그런데 이번달은 주식 평가금액이 마이너스였어요. 그래서 주식을 추가매수하기로 했어요.
  • 대출이자 상환 후 남은 6만3천원과 계좌에 남아있던 예수금을 합해서 8주를 추가 매수했어요.

 

■ 총정리

  • 총 매수금액은 지난달 547만원에서 이번달 553만원이 됐고, 수량은 629주에서 637주가 됐어요.
  • 대출원금은 530만원 그대로이고, 대출이자는 16,750원을 납부했어요.
  • 대출이자를 내고 남은 금액은 63,762원이고, 대출원금 상환없이 주식 추가 매수에 사용했어요.
  • 주식계좌 평가금이 537만원이 되어서 현재 기준으로 모두 처분해서 대출원금을 상환하면 7만원이 남겠네요 ㅎㅎ

 


 

이렇게 4번째 배당금을 받고, 4번째 대출이자를 납부했어요.

다음달엔 주식 평잔이 플러스가 되어서 대출 원금을 일부 상환하는 내용도 작성하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